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라남도>임신지원 및 임산부 건강관리지원

by 아름다운 우주 2025. 3. 24.
반응형

임산부, 임신한, 산모

임신지원

전라남도의 인구 감소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출장장려 정책의 일환으로 임신지원 및 임산부 건강관리 지원을 하여 인구증가를 유도하고자 합니다.

임신지원중 난임부부 지원에는 난임부부 시술비지원(양방), 한의난임치료지원(한방),

난임. 우울증, 신혼(예비) 부부 건강검진비등 지원내용과 지원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난임부부(양방) 대상 :기준중위소득 180%이하 혼인상태의 난임부부

*지원내용 : 난임 시술비, 배아동결비, 유산방지제 및 착상보조제

*지원금액 :시술별 차등 지급(회당 20~110만 원 이내)

*담당부서 :관할지역 시군 보건소

 

2)한의 난임치료 지원(한방) 대상 : 기준중위소득 200% 이하 가정 중 1년 이상 임신이 안되고 있는 만 44세 이하 여성

*지원내용 : 한약, 침구치료, 임신여부 관리 등

*지원금액 : 1인당 180만 원 이내

*담당부서 :관할지역 시군 보건소

 

3) 난임ㆍ우울증 상담센터 운영 :도내 난임부부, 임산부, 가임여성 등

*지원내용 : 난임ㆍ우울증 상담, 정신건강프로그램 운영, 의료기관 등과 연계

*운영기관 :현대여성아동병원(순천) 전남권역 난임·우울증 상담센터 061-901-1234 /

홈페이지 상담예약 hwc1234.co.kr

 

4) 신혼(예비) 부부 건강검진비 지원 대상 :주민등록상 도내 거주자로 첫 임신을 계획 중인 예비부부 또는 혼인신고 3년 이내 부부

*지원내용 : 임신 전 필수 건강검진 항목 검진비 지원 (여성) 자궁경부암, 초음파, 풍진, 성병, 빈혈, 매독, 에이즈 등 (남성) 간염, 당뇨, 성병, 매독, 에이즈, 신장기능검사 등

*지원금액 :여성 17만 원, 남성 9만 원 범위 내

*담당부서 :신혼(예비) 부부 중 여성의 주소지 관할 시군 보건소

 

임산부건강관리지원

임산부건강관리지원에는 임산부 엽산제 및 철분제 지원, 임산부 영양플러스사업,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지원이 있습니다.

 

1) 임산부 엽산제 및 철분제 지원 대상 :임산부

*지원내용 :엽산제 지원 : 임신 주차 ~12주까지

                  철분제 지원 : 임신 16~ 분만 전까지 (1인당 5개월분)

*담당부서 : 주소지 관할 보건소

 

2) 임산부 영양플러스 사업 대상 : 전라남도에 거주하는 기준중위소득 65% 이하 가구의 임신부와 출산부 또는 수유부, 72개월 미만의 영유아

*지원내용 : 최대 1년 동안 영양교육 및 가정방문상담이 이루어지고 맞춤형 보충식품을 가정으로 직접 배송하며, 정기적인 영양평가 등 다양한 영양프로그램을 제공 각 시군구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문의

*담당부서 : 각 시군구 보건소에 문의

 

3)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대상 : 기준중위소득 180% 이하 가구의 임산부 중 19대 고위험 임신질환*으로 진단받고 입원치료받은 임산부

*지원대상 : 조기진통, 분만 관련 출혈, 중증 임신중독증, 양막의 조기파열, 태반조기박리, 전치태반, 절박유산, 양수과다증, 양수과소증, 분만 전 출혈, 자궁경부무력증, 고혈압, 다태임신, 당뇨병, 대사장애를 동반한 임신과다구토, 신질환, 심부전, 자궁 내 성장 제한, 자궁 및 자궁의 부속기 질환 분만결과, 자궁 내 타아사망 등으로 사산한 경우도 지원대상에 포함 지원제외자 : 외국 국적인 자 및 국외 이주자(, 영주권 취득 및 결혼이주여성 <체류자격 : F5, F6>, 난민협약에 의한 난민, 북한이탈주민, 영주귀국사할린 한인은 지원 가능)

*신청기간 : 분만일로부터 6개월 이내

*지원내용 :고위험 임산부 입원치료비의 급여 중 전액본인부담금 및 비급여 진료비에 해당하는 금액의 90% 지원(10%는 개인 부담 적용)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의료급여수급자는 100% 지원 1인당 300만 원까지 지원 각 시군구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문의

*담당부서 : 각 시군구 보건소에 문의

 

임신 지원 정책의 결과

임신지원 및 임산부 건강관리 지원을 하여 인구증가를 유도하고 젊은 세대가 대도시로 이동하는 현상을 막기 위해 출산과 육아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려는 목적이 있습니다.

전라남도의 임신 지원 정책은 출산율이 소폭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고, 조기 건강검진 및 영양제 지원으로 아이의 건강 상태가 개선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지원과 개선이 필요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