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위한 여행 템플스테이
템플스테이는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사찰에서 수행자의 일상을 경험하는 전통문화체험 프로그램입니다.
템플스테이는 바쁜 일상을 벗어나 여행을 찾는 사람들에게 특별한 감동을 줍니다. 2002년 한·일 월드컵을 기점으로 K-컬처, K-푸드둥 한국문화의 위상이 커지면서 템플스테이에 대한 관심도 커졌습니다. 템플스테이는 이제 많은 세계인들이 함께 하고 있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창의적이고 경쟁력 있는 문화상품'으로 선정해 한국의 대표 문화상품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가족, 학생, 기업, 친구, 단체, 장애인 및 소외계층까지 사회 구성원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은 물론 새로운 소통과 만남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템플스테이는 아름다운 풍경과 역사, 문화가 공존하는 사찰에서 한국의 진정한 아름다움을 찾고 소통을 통해 관계를 회복하는 장소가 될 것입니다..
템플스테이 유형 (당일형 프로그램, 체험형 프로그램, 휴식형 프로그램)
당일형 프로그램
사찰에 하루 동안 머무는 것이 여의치 않은 이들과 외국인들을 위해 짧은 시간 틈을 내 한국의 불교문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만든 프로그램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찰 안내, 참선 체험, 다도 만들기(연등, 염주, 사경) 체험을 선택하여 체험할 수 있습니다.
체험형 프로그램
체험형 프로그램은 계절 또는 참가자들의 특성에 따라 사찰마다 조금씩 다른 프로그램들이 진행됩니다.
절 예절, 발우공양, 108배, 연등 만들기, 문화유적 탐방 등 한국의 전통문화와 다양한 불교문화를 경험해 보는 프로그램이나 사찰 주변의 숲 체험, 갯벌 탐사, 야생녹차 만들기 등 자연환경을 이용한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전통문화체험은 추석, 설, 연말, 연초 해돋이 등 시기별로 다르게 진행됩니다.
휴식형 프로그램
사찰에 머물며 몸과 마음을 편하게 쉴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일상에서 벗어나 아름다운 자연과 호흡하고 참선이나 예불등을 통해 삶의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습니다. 부처님께 예를 올리는 예불과 공양, 사찰 안내 및 사찰 예절 교육 외의 시간은 자유롭게 휴식을 취할 수 있습니다.
주요 프로그램 소개
01. 사찰안내
불교의 전통과 문화를 느끼는 시간
사찰순례는 살아 숨 쉬는 불교의 전통과 문화를 느끼고 배우는 순례의 길이 될 것입니다. 사찰의 구조와 건축, 조각, 공예, 단청 등 각종 불교 문화재들은 부처님의 가르침과 민족의 전통을 오롯이 간직하고 있기에 사찰순례를 통하여 이러한 의미와 아름다움을 음미해 보는 경험을 해보는 것입니다.
02. 참선 및 명상
참선은 한국불교의 중심 수행법입니다. 참가자 SMS 일상에서 벗어나 자신의 내면과 마주하며 스스로를 되돌아보는 과정을 통해 보다 밝고 긍정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에너지를 받을 수 있습니다.
몸의 깨달음, 명상
청량한 숲과 계곡, 맑은 공기 등 사찰을 둘러싸고 있는 자연환경은 마음을 안정시켜 명상을 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03. 스님과의 차담
따뜻한 위로가 담긴 차 한 잔과 다도
우리나라 전통문화의 불교문화에 대한 궁금증뿐만 아니라 살면서 겪게 되는 고민과 갈등에 대해 특별한 주제 없이 편안하게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 스님과 함께 차 한 잔을 나누는 차담은 템플스테이에서도 가장 의미 있는 시간이기도 합니다.
04. 발우공양
수행자의 지혜가 담긴 식사법, 발우공양
발우는 절에서 스님들이 사용하는 전통 식기를 말합니다. 발우를 이용하여 전통적인 의식에 따라 식사하는 것을 '발우공양'이라고 하는데, 발우공양은 음식이 우리에게 오기까지 수고로움을 아끼지 않은 수많은 이들에 대한 고마움과 자연에 대한 감사의 마음 그리고 쌀 한 톨도 낭비하지 않는 절약의 의미가 담겨 있는 식사법입니다.
05. 예불
평화와 깨달음을 기원하는 시간, 예불
예불은 하루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기본적인 의식입니다. 새벽 고요한 산사를 깨우는 종소리가 울려 퍼지고 법당 안 스님들의 예불 소리와 함께 하루가 시작됩니다. 또 해가 넘어갈 때 웅장한 종소리가 다시 한번 예불 시간을 알리면 산사의 모든 이들이 함께 예불을 올립니다. 몸과 입과 마음으로 온 세상이 평화로워지기를 기원하는 시간입니다.
06. 108배
몸과 마음을 다스리는 절 수행, 108배
108가지 번뇌를 참회하고 씻기 위한 수행법으로 절을 할 때마다 108 번뇌도 하나씩 내려놓으면서 자신의 어리석음을 반성합니다. 고로 108배 시간은 내 몸을 낮춤으로써 겸손을 배우고, 새로운 마음을 채우는 시간이기도 합니다.
07. 연등 및 염주 만들기
나와 세상을 밝히는 진리의 등불, 연등 만들기
연꽃 모양의 등을 연등이라고 합니다. 얇은 종이로 만든 연꽃잎을 한 장씩 접어서 풀로 붙이면 연등이 완성됩니다. 영원히 꺼지지 않는 지혜를 상징하는 연꽃등은 진흙 속에서도 더러움에 물들지 않고 아름답고 깨끗하게 피어나는 연꽃처럼 어리석은 마음을 닦아 깨달음에 이르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진흙 속에서도 청정하게 피어나는 연꽃처럼 나의 지혜도 피어오르길 기원하며 색색의 한지를 곱게 붙여 연등을 만듭니다.
산란한 마음을 동그랗게, 염주 만들기
염주는 깨달음에 대한 기원을 담아 한 알 한 알 구슬을 꿰어 만든 한국불교의 대표적인 기도용품입니다. 염주 알의 수가 적은 것은 단주라고 하고, 보통 108개로 되어 있어서 108 염주라고 부릅니다.